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장겸, 가짜뉴스 척결 선봉…포털·유튜브 등의 허위정보 차단법 발의


입력 2024.06.12 11:29 수정 2024.06.12 11:31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金, 1호 법안으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대표발의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1호 법안'으로 포털 사이트와 유튜브 등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허위조작정보 유통 방지를 의무화하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장겸 의원이 대표발의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은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에게 허위·조작정보 등 유통이 금지된 불법정보 유통 방지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 골자다.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에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허위조작정보 유통 방지 의무 및 책임자 지정의무 부여 △정보통신망에서 유통이 금지되는 불법정보에 허위조작정보 포함 △허위조작정보로 인한 권리 침해 시 누구든 해당 정보의 삭제 및 반박 권리 보장 △매크로 악용 허위조작정보 게재 행위 금지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허위조작정보를 유통한 자'뿐만 아니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유통 방지 의무 및 책임자 지정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징역 또는 과태료 부과 등 처벌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허위조작정보 차단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법적 책무를 부여했다.


해외에서도 가짜뉴스 방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유럽연합(EU)는 '디지털 중개서비스 제공자는 불법정보 삭제 및 차단을 위한 특별한 의무를 부담하고, 이용자의 피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내용의 디지털서비스법(Digital Services Act:DSA)을 지난해부터 시행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공적 책임을 강화했다.


독일은 이보다 앞선 2018년 네트워크집행법(NetzDG)을 시행해 사업자는 이용자에게서 신고된 콘텐츠가 명백하게 불법일 경우 24시간 안에 삭제·차단하고 재심사·중재 절차 등을 마련하도록 규정했다. 또 반기별로 불법 콘텐츠 처리 결과를 담은 투명성 보고서를 발간하도록 하는 등 사업자의 콘텐츠 책임을 강화하고 처리 과정의 투명성을 강조했다.


김장겸 의원은 "우리나라는 대형 포털 혹은 플랫폼을 통해 대부분의 정보가 유통되는 특징이 있고, 가짜뉴스와 같은 허위조작정보의 확대 과정도 마찬가지"라며 "포털이 가짜뉴스의 확성기가 되지 않도록 공적 책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