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선낭암·담관암 등 3개의 처방약 확보 계획
암종 불문 항암제 개발…제2의 키트루다 목표
HLB가 향후 2년의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6일 밝혔다.
HLB는 올해 3월 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간암 신약 ‘라보세라닙’을 승인 받고, 선낭암을 상반기에 처방약으로 가이드라인에 등재해 상업화 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말 담관암까지 신약 허가(NDA)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로써 간암, 선낭암, 담관암 3개의 처방약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향후 HLB는 글로벌 임상을 확장하고, 제2의 ‘키트루다’를 목표로 암종 불문 항암제를 개발한다는 청사진도 공개했다. 올해 새롭게 추진되는 목표는 암종 불문 항암제 개발이다.
HLB는 최근 미국 바이오 기업으로부터 권리와 기술 이전을 받은 경구용 표적 항암제 ‘리라푸그라티닙’을 통해 FGFR2 변이성 암에 대해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는 ‘암종 불문 치료제’를 개발한다.
암종 불문 치료제는 종양의 발생 부위와 관계없이 특정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처방이 가능한 항암제의 새로운 영역이다. 지난 2017년에 글로벌 블록버스터 ‘키트루다’가 최초로 암종 불문 치료제로 FDA의 허가를 받은 바 있다.
리라푸그라티닙은 세포의 성장과 재생 등에 관여하는 수용체인 FGFR2(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를 타깃하는 표적 항암제다.
앞서 리라푸그라티닙의 원 개발사인 릴레이 테라퓨틱스는 지난 2020년 임상 1·2상을 시작할 당시 ‘암종 불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담관암 환자는 물론 FGFR2 이상 증상이 빈번하게 관찰되는 위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췌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 환자에 대해서도 모집을 진행했다.
현재 해당 임상의 7개 환자 그룹 가운데 담관암 환자 그룹에 대한 모집은 완료된 상태다. 엘레바는 담관암 외 다른 고형암에 대해서도 꾸준히 환자 규모를 늘려, 암종 불문 치료제로서의 효능을 입증한다는 계획이다.
엘레바 정세호 대표는 “현재까지 모집된 환자들의 예후를 볼 때 리라푸그라티닙이 암종 불문 치료제로서의 높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판단해 추가 환자 모집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