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드오픈리서치 설문조사 진행
가상자산 보유율 25%, 미국(19%)보다 ↑
주식·부동산보다 낮은 진입장벽, 전 연령층으로 확산
한국에서 가상자산 투자가 대중화되면서 성인 4명 중 1명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성인의 가상자산 투자 비율(19%)보다 높은 수준이다.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 산하 연구기관 해시드오픈리서치(HOR)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한국 가상자산 투자자 그들은 누구인가?'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20~60대 성인 인터넷 사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25%(507명)가 현재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의 가상자산 투자 경험이 54%로 가장 많았으며, 40대(43%)와 20대(39%)가 그 뒤를 이었다. 50대의 경우 33%가 가상자산 투자를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해 20대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0대 역시 19%가 가상자산 투자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투자하지 않지만 향후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11.4%였다. 특히 40~60대에서 이러한 응답이 많아 향후 가상자산 투자가 전 연령층으로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가상자산 투자자 중 24.5%(123명)는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또는 탈중앙화거래소(DEX)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이들 중 절반 이상(54%)은 보유한 가상자산의 20% 이상을 해외 거래소나 DEX에 예치하고 있었으며, 1억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투자자 8명 중 5명은 자산의 절반 이상을 해외 거래소나 DEX에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주요 이유로는 '단기적으로 다른 자산 대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변인의 추천(47%) ▲입출금 편의성(39%) ▲24시간 거래 가능(23%) 등이 주요 투자 이유로 꼽혔다. 투자 자금의 출처로는 여유 자금(64%)과 근로소득(5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HOR 관계자는 "가상자산 투자는 주식이나 부동산보다 진입 장벽이 낮고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가상자산을 제도화하는 흐름이 강해지는 만큼, 한국에서도 관련 법제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