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 상품 전년 대비 20.5% 판매
캐릭터 굿즈 상품 매출 비중 55%
CU가 계속되는 소비 침체 속에 밸런타인데이 상품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 폭을 보이며 기념일 가치 소비 트렌드가 뚜렷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CU가 밸런타인데이 시즌인 이달 8일부터 14일까지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행사 상품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이 11.6%를 기록했다.
장기화된 불황 등으로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가운데, 올해 첫 편의점의 기념일 행사인 밸런타인데이는 2025년 소비심리지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바로미터다.
이렇게 행사 매출이 상승했다는 것은 잠재적 소비 불씨가 살아있다는 방증으로도 해석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실제, CU의 밸런타인데이의 연도별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을 살펴 보면 2020년 12.3%, 2021년 -22.8%, 2022년 54.5%, 2023년 33.8%, 2024년 2.0%의 흐름을 이어왔다.
코로나19 발병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심화된 2021년은 최근 5년 중 유일하게 매출이 감소했으나 오랜 펜데믹으로 지금처럼 전반적인 소비가 둔화됐던 2022년엔 오히려 54.6%나 크게 오르며 기념일 맞이 깜짝 소비가 살아난 바 있다.
특히, 올해 CU의 밸런타인데이 차별화 상품은 전년 대비 20.5% 더 판매되며 전체 매출을 견인했다.
다양한 굿즈로 실용성을 강조한 리락쿠마와 에버랜드 뿌직이&빠직이 캐릭터 상품들이 전체 차별화 상품 매출 중 55%의 비중을 차지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밸런타인데이 상품의 입지별 매출신장률을 살펴 보면, 오피스가 27.0%, 유흥가 23.9%, 대학가 16.6%, 산업지대 15.0%, 지하철 11.9%로 상대적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높은 수요를 보였다.
또한, CU Npay카드, 카카오페이머니, 토스페이머니 등과 전개한 밸런타인데이 상품 할인 구매율은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48.8%를 기록했다. 물가 부담을 느낀 고객들이 각종 할인 혜택을 통한 알뜰 소비에 나선 것이다.
CU가 올해 밸런타인데이 전체 상품의 가격대별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 1만원 미만은 줄고 그 이상은 늘었다.
1만원 미만 상품의 매출 비중은 올해 25.0%로 지난해 34.1% 대비 9.1%p 감소한 반면, 1만원 이상~2만원 미만은 56.4%로 6.4%p 상승했고 2만원 이상은 18.6%로 2.7%p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기념일을 맞아 초콜릿 외 캔디 17.5%, 젤리 15.7%, 디저트 13.1%, 양주 12.0%, 와인 11.8% 등의 품목 매출도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
이는 초콜릿을 주는 전통적인 밸런타인데이 선물 문화에서 벗어나 개성과 취향을 중시하는 고객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CU는 올해 밸런타인데이 마케팅 콘셉트를 해롭지 않는 귀여운 존재를 가리키는 말인 ‘무해력’으로 정하고 고객에게 행복감을 주는 상품을 다채롭게 내놓았다.
키링, 슬리퍼, 캐리어 등 인기 캐릭터의 실용적 굿즈를 담은 차별화 상품을 대폭 늘렸고 풍성한 제휴 할인 행사를 함께 선보이며 꽁꽁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자극했다.
조준형 BGF리테일 스낵식품팀장은 “나를 위한 행복이나 소중한 사람들과의 특별한 순간을 즐기기 위한 기념일 소비가 일어나며 귀여움과 실용성을 강조한 상품의 매출이 늘었다”며 “편의점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선물을 구매할 수 있어 바쁜 직장인이나 즉흥적으로 선물을 준비하는 고객에게 최적의 선택지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