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안철수 "언제든 재발 가능한 초대형 산불, AI 첨단기술로 대응해야"


입력 2025.03.31 15:49 수정 2025.03.31 15:53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국민의힘 AI특위위원장, 산불 관련 전격 제안

"인공위성과 AI로 산불 조기 판별 가능"

"산불 예측 기술개발 예산, 추경 포함해야"

"진화 장비 및 인력 체계도 개선 필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영남 산불 사태와 같은 초대형 산불이 언제든 재발할 수 있는 만큼, 산불 대응 시스템을 위성·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기반으로 쇄신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전격 제안했다.


국민의힘 AI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안철수 의원은 31일 페이스북에서 "최근 인공위성에 탑재된 적외선 감지기로 지표면 온도 변화를 포착하고, 이를 AI가 분석해 산불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며 "우리도 이러한 기술을 과감히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열흘간 영남을 휩쓴 산불이 겨우 진화됐으나 이번 산불은 사망자 30명을 포함해 인명 피해 75명, 피해 면적은 여의도의 166배에 달하는 4만8000헥타르(ha)에 이르는 등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며 "문제는 이제는 이러한 초대형 산불이 일회성이 아니라,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했다.


이어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이미 전 세계적으로 산불은 대형화되고 있다"며 "2020년 호주는 산불로 남한보다 넓은 면적이 불탔고, 올해 1월 미국 LA의 산불 피해는 약 88조원에 달했다. 지난해에는 서울 면적의 295배에 달하는 아마존 밀림이 잿더미로 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제 기후위기 시대에 걸맞게 산불 대응 시스템을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해서 전면적으로 쇄신해야 할 때"라며 "산림은 한순간에 사라지지만, 복구에는 수십 년이 걸린다. 결국 예방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또 "진화 장비와 인력 체계도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며 "현재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 중 69%는 제작된 지 21년 이상 된 노후 기종이며, 이번에 추락한 진화 헬기 역시 30년 된 기종이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따라서 정부가 추진하는 산불 추경에는 단순한 이번 피해 복구 예산뿐 아니라, 인공위성·AI 기반 산불 예측 및 조기 감지 기술 개발 예산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거듭 제안했다.


그는 "이번 산불로 경북 지역에서만 주택 3556채가 소실됐고, 여전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주민이 2800명에 이른다"며 "지금이 과연 ‘국무총리 탄핵’을 언급할 때인지 정치권에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은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을 위로하고, 그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돕는 일"이라며 "이제는 첨단기술과 체계적인 대응으로 더 이상 산림과 소중한 생명을 잃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