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은수미·김기준·백군기·최민희 여권 前 비례대표, 대거 지방선거行


입력 2018.03.03 03:00 수정 2018.03.03 08:03        이슬기 기자

文정부 출범 후 첫 선거, ‘여당 프리미엄’ 기대

2일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6.13 지방선거를 100여일 앞둔 가운데, 지난 총선에서 고배를 마신 더불어민주당 전직 비례대표 의원들의 지선 출마가 잇따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번째 전국 단위 선거인 데다 대통령 지지율도 60%를 웃돌고 있는 만큼, 여권 인사들에겐 이번 선거가 정치권 재입성의 발판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19대 국회에서 비례대표를 지낸 은수미 청와대 여성가족비서관은 지난 달 28일 청와대에 사표를 제출했다. 노동분야 전문가로 꼽히는 그는 20대 총선 당시 성남 중원에 출마했다가 신상진 자유한국당 의원에 밀려 낙선했다. 은 비서관은 “입장을 정리 중”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지만, 성남시장 출마가 유력하다.

백군기 전 의원도 같은 달 26일 용인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백 전 의원은 육군대장 출신으로 현재 민주당 국방안보특별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용인시의 교통문제 해결을 핵심 공약으로 내놨다. 전국금융산업노조 위원장 출신인 김기준 전 의원은 일찍부터 파주시장 출마를 선언하고 ‘평화경제특별구역 조성’을 간판 공약으로 내걸었다.

지난 총선에서 남양주병 선거에 도전했다 고배를 마신 최민희 전 의원도 지선 출마 시·도당위원장 사퇴 시한인 지난달 13일 남양주병 지역위원장직을 내려놨다. 최 전 의원은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남양주시장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당은 지난달 28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6.13 지방선거 후보 선출 경선기준'을 확정했다. 확정된 룰에 따라, 광역·기초단체장 후보경선 시 권리당원을 상대로 한 조사와 '안심번호'를 이용한 여론조사 결과를 50%씩 반영한다.

단, 안심번호 여론조사는 지자체 인구 규모에 따라 차등을 뒀다. 서울시 등 광역단체장은 6만명을 대상으로 전화를 걸어 2000명 이상의 답변을 받은 결과를 반영한다. 반면 기초단체장의 경우, 인구 50만명 이상인 기초자치단체는 3만명을 대상으로 전화를 걸어 1000명 이상의 답변을, 인구 50만명 미만은 2만1000명과 통화해 700명 이상의 답변을 받아야 한다.

아울러 민주당은 이르면 다음주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공천심사에 돌입한다. 특히 대다수 지역에서 출마자가 몰리는 만큼, 과열 양상을 막기 위해 1차 심사에서 후보를 정리하는 컷오프를 도입할 가능성도 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