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가 사는법…한국당과 '대여공조', 평화당과 '선거제공조'
한국당과 국회 운영위·기재위 소집 요구
평화·정의당 비례제 '콘크리트 공조' 강화
한국당과 국회 운영위·기재위 소집 요구
평화·정의당 비례제 '콘크리트 공조' 강화
바른미래당이 최근 야권 공조를 강화하고 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과 청와대 특별감찰반 의혹에 대한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에 이어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의 폭로에 대해서도 연합전선을 구축해 대여(對與) 공세를 펼치고 있다.
소수정당인 민주평화당·정의당과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선거제 개혁 공조도 한창이다. 다음 총선 전까지 현 소선거구제 중심의 선거판을 중·대선거구제로 개편하겠다는 의지다.
바른미래당 지도부는 3일 “신재민 전 사무관이 ‘적자 국채 언급’에 관한 구체적인 정황, 실명을 거론했다”며 “더 이상 기획재정위원회의 소집을 늦출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신 전 사무관은 유서를 남기고 잠적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찰이 행적파악에 나서는 등 상황의 긴박감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전날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김 원내대표와 회동 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등 상임위를 소집하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며 “(바른미래당과) 이심전심이다. 기재위 소집은 기본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양당은 정부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압박해 기재위 소집을 이끌어 내겠다는 각오다.
아울러 바른미래당은 소수정당과 연동형비례대표제 촉구를 위한 야 3당 공조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선거제도 개혁을 촉구를 위해 손 대표와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단식농성을 단행하는 등 공조를 통해 선거제도 개혁 논의를 진척시킨 바 있다.
손학규 대표는 올해 신년사에서 “2019년, 바른미래당이 정치개혁에 앞장서겠다. 제왕적 대통령제와 승자독식 양당제를 타파하고, 민심 그대로의 민주주의로 정치의 '새 판'을 짜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평화당이 지난 2일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반드시 관철시킬 것”이라고 밝힌 데다 정의당 또한 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올해 야3당의 ‘콘크리트 공조’를 강화할 뜻을 내비친 만큼 정부여당을 향한 압박수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다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바른미래당의 야권 공조 움직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야권 관계자는 “최근 바른미래당이 한국당과 정치적 노선을 함께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며 “바른미래당만의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