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법 "상대방 동의 없이 녹음한 통화, 사생활 침해 심하면 증거로 못 써"


입력 2024.01.08 09:04 수정 2024.01.08 09:09        황기현 기자 (kihyun@dailian.co.kr)

대법원, 지난달 14일 위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에게 유죄 선고 원심판결 확정

피고인 아내가 몰래 녹음한 녹음 파일 증거로 인정…유죄 판단 유지

"증거 수집 절차, 개인의 사생활 혹은 인격적 이익을 중대하게 침해하면 증거 채택 안 돼"

녹음 경위와 내용에 비춰 사생활·인격적 이익 심각하게 침해했다면 증거능력 부정 될 수 있어

서울 서초구 대법원 전경.ⓒ데일리안 황기현 기자

상대방의 동의 없이 녹음한 통화 내용이 그 경위와 내용에 비춰 사생활을 중대하게 침해했다면 증거능력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지난달 14일 위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최모 씨 등 4명에게 유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하면서 이같이 판시했다.


이들은 지난 2019년 3월 실시된 지역수협 조합장 선거에서 선거인들에게 금품을 건네고 법이 허용하지 않는 선거운동을 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다.


검찰은 최 씨의 휴대전화를 압수해 분석하던 중 다수의 통화녹음 파일을 입수해 증거로 제출했다. 문제는 이 통화녹음 파일이 최 씨의 아내가 최 씨 몰래 녹음한 것들이었다는 점이다.


최 씨 아내는 불륜을 의심해 남편 몰래 휴대전화의 자동 녹음기능을 활성화했고, 최 씨는 이를 모르는 상태에서 약 3년간 많은 양의 대화가 녹음됐다.


1·2심은 이들의 혐의를 대부분 유죄로 인정해 징역형을 선고했다. 검사와 피고인들 양쪽이 불복해 대법원에서 상고심이 열렸다.


상고심 쟁점은 휴대전화에 녹음된 최 씨 부부의 통화 내용을 혐의 입증의 증거로 쓸 수 있는지였다.


대법원은 이 사건의 경우 증거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유죄 판단을 유지했다.


아내가 최 씨의 사생활을 침해했다고 볼 여지는 있지만 직접 통화한 내용이라 침해 정도가 크지 않고 은밀하게 이뤄지는 선거 범죄의 특성상 녹음 파일을 증거로 사용할 필요성이 크다는 이유였다.


다만 대법원은 "증거 수집 절차가 개인의 사생활 내지 인격적 이익을 중대하게 침해해 사회통념상 허용되는 한도를 벗어난 것이라면 단지 형사소추에 필요한 증거라는 사정만을 들어 곧바로 형사소송에서 진실발견이라는 공익이 개인의 인격적 이익 등 보호이익보다 우월한 것으로 섣불리 단정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두 사람의 통화 내용을 한 사람이 몰래 녹음해 상대방의 형사사건에 증거로 제출하는 일반적인 사례에서도 '녹음 경위와 내용 등에 비춰 사생활 내지 인격적 이익을 중대하게 침해했다면' 증거능력이 부정될 수도 있다는 취지의 판단이다.


대법원이 이번 판결에서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밝히지는 않아 어떤 상황에서 증거능력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는지는 향후 법원 판결이 누적돼야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황기현 기자 (kihyu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