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올해 대출 문턱 높아진다…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치 ↓


입력 2025.02.05 18:00 수정 2025.02.05 18:01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정책대출 外 가계대출 증가액, 전년 대비 4.4% 감소

금감원 "지방은행·2금융권은 목표치 더 늘릴 것"

시민들이 서울 시내의 ATM기를 이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시중은행의 가계 대출 증가액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5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올해 정책대출 제외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치는 14조305억원으로 나타났다. 작년 가계대출 증가액 14조6800억원보다 4.4% 가량 줄어든 수치다.


5대 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목표치를 보면 ▲국민은행 3조5억원 ▲신한은행 2조3000억원 ▲하나은행 3조5000억원 ▲우리은행 2조800억원 ▲농협은행 3조1500억원 등이다.


은행별 가계대출 관리 목표치는 정책대출 규모가 결정되면 금융당국과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따라서 이 목표치는 정책성 상품을 제외한 은행별 경영계획에 반영된 것이다.


작년 가계대출 증가액과 비교해보면 ▲농협은행 38% ▲신한은행 0.8% ▲우리은행 3.5% ▲하나은행 21.8% ▲국민은행 12.7% 순으로 늘어났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 그리고 하나은행의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액은 목표치보다 각각 8363억원(27.4%), 1368억원(4.1%), 1조6886억원(60.6%) 초과했다. 이들 은행은 처음 제시한 올해 가계대출 목표치에서 지난해 초과한 액수만큼 감액됐다. 패널티성 감액이란 게 금융당국 설명이다.


반면 지난해 증가액이 목표치를 33.3%로 밑돈 농협은행은 올해 가계대출 목표치를 늘려 잡았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가계대출 목표치를 2209억원으로 지나치게 낮게 잡았다가 올해 2조800억원으로 정상화했다.


올해 가계대출 목표치는 정책대출 규모 결정 후 금융당국과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책대출 규모가 정해져야 최종 확정되겠지만, 5대 시중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작년보다 줄어들 수밖에 없다"면서 "작년에 목표치를 초과해 가계대출을 한 은행에는 처음 제출한 목표치에서 해당 금액만큼 감하는 패널티를 줬다"고 말했다.


이어 "인터넷은행이나 지방은행은 5대 시중은행보다는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조금 더 늘릴 수 있도록 관리할 것"이라며 "2금융권도 은행권보다는 가계대출 목표치를 높게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