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평균 수익률 8.77%…국내 증시 반등에 상승 동력
거래대금은 ‘저조’…정책 방향성 장기간 부재에 의구심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위한 실질적 정부 지원 필요
올해 들어 국내 증시의 반등 국면에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상장지수펀드(ETF)가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거뒀으나 투자자들의 관심은 여전히 냉랭하다는 분석이다.
국내 증시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밸류업 정책이 아직까지 명확한 방향성을 갖추지 못하자 이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상장된 밸류업 ETF 12종목의 올해(1월 2일~2월 20일) 평균 수익률은 8.77%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4일 출시 이후 연말까지 전 종목의 평균 수익률이 줄곧 마이너스(-)였던 점과 비교하면 올해 플러스(+)로 전환한 셈이다.
밸류업 ETF가 추종하는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상승세도 포착된다. 해당 지수는 올해 9.26%(952.10→1040.25) 상승했다. 특히 지난 19일 장중에는 1051.73포인트까지 치솟았는데 이는 밸류업 지수가 공식적으로 산출된 9월 30일 이후 최고 수준이다.
밸류업 ETF는 정부 주도 밸류업 프로그램의 본격 가동으로 시장에 등장한 상품이라는 점에서 꾸준히 성과에 이목이 집중됐다. 상장 이후 국내 증시의 조정장이 지속되면서 부진한 성적을 지속했으나, 올 들어 국내 증시가 반등세를 굳히면서 밸류업 ETF도 상승 동력을 얻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밸류업 ETF의 회복세에도 투심은 여전히 차갑다. 밸류업 ETF 12종목의 올해 평균 거래대금은 약 72억원이다. 이에 해당 ETF들의 순자산도 고작 248억원 증가했다. NH아문디자산운용의 ‘HANARO 코리아밸류업’의 경우, 단 한 주도 거래되지 않은 날도 있다.
당초 밸류업 프로그램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해 시행된 만큼 정책의 일환인 밸류업 ETF에 투심이 모일 것으로 기대됐으나, 여전히 투심을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했던 밸류업 관련 세제 인센티브가 장기간 부여되지 않으면서 정책 동력이 상실됐다”며 “밸류업 정책과 ETF의 흥행을 위해서는 기업 참여를 유도할 세제 혜택,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는 정책적 지원이 신속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금융투자업계와 학계에서는 줄곧 기업들에게 단순히 밸류업 공시를 요구하는 것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를 통해 밸류업 정책의 방향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업들의 순자산의 효율적 재배치, 수익성 및 주주환원 향상을 위한 고민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주주환원의 일환으로 기업이 현금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 등에 적극 나설 경우 주주의 총 수익률을 높이고 유의미한 주가 상승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대기업 중심의 주주환원 확대 유도, 장기적으로는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이 실효적인 밸류업 방안이 될 수 있다”며 “밸류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본질 가치를 개선하기 위한 근원적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